
운영시간
📍 장소 : 천안예술의전당
⏰ 수요일(11:00)
콘텐츠
✅ 바이올리니스트 최송하
영국의 신문사 더 타임즈에서 "매혹적 : 열정, 상상력, 대담함으로 가득 차 있다"라고 표현한 한국의 젊은 바이올리니스트 최송하는 예후디 메뉴인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시니어 최연소 2등상과 청중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2024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2023 몬트리올 국제음악콩쿠르(CMIM)에서 바이올린 부문 2위 및 세미파이널 최고 소나타상, 캐나다 작품 최고 공연상, 청중상을 수상했다. 또한 2021 윈저 페스티벌 국제 현악 콩쿠르에서는 2위, 2020 프레미오 리피처 국제 바이 올린 콩쿠르에서는 2등상과 바흐상, 소나타상을 받았다. 이외에도 베를린 국제 콩쿠르에서는 현악부문 최우수상, 2015 쥬네스 뮤지컬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는 1위를 차지하며 뛰어난 실력을 입증했다.
최송하는 라파엘 파야레, 안토니 헤르무스, 마르티나 스타키오니스, 크리스토퍼 워렌 그린 등의 지휘로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리투아니아 국립교향 악단, 뷔르템베르크 캄머오케스트라 하일브론, 오케스트라 로얄 드 왈로니, KBS교향악단,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대구시립교향악단 등 국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 무대를 가졌다.
솔로이스트로서 베를린 필하모니, 암스테르담 콘세르트헤바우, 함부르크 엘브필하모니, 브뤼셀 팔레 드 보자르, 몬트리올 메종 심포닉 홀, 런던 위그모어홀과 로열 페스티벌 홈, 리투아니아 국립 필하모니홀 및 프랑크푸르트 알테오퍼에서 연주를 하였으며, BBC3 라디오, BBC Arts, 메디치 TV, NPO Klassiek, 불가리아 국립 라디오, RAI 이탈리아, 클래식 FM, 및 콘세르트헤바우 라이브 라디오를 포함한 수많은 미디어에도 출연하였다.
스위스 그슈타트 메뉴인 페스티벌, 폴란드 크리죠바 뮤직 페스티벌, 불가리아 바르나 뮤직 페스티벌, 다보스 세계 경제포럼, 함부르크 체임버 페스티벌, 비스바덴 페스티벌 등 유수의 페스티벌에서 독주회를 가졌고, 스위스 베르비에 페스티벌(Prix Reyl 수상), 독일 크론베르크 페스티벌(Ana Chumacencho Preis 수상), 빌라스 아카데미(Prix Robert Dunand 수상) 및 미국 포 시즌스 체임버 페스티벌 등에 참가하였으며, 파질 세이, 가브리엘 프로코피예프, 올리 무스토넨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와 함께 연주하였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원을 거쳐 영국의 예후디 메뉴인 음악스쿨을 졸업한 최송하는 현재 베를린에 있는 한스 아이슬러 음악대학에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악장으로 활약하였던 콜리아 클라허 교수를 사사하고 있으며, 피터 하우버(Peter Hauber) 컬렉션과 독일 연방 음악 장학재단(Deutsche Stiftung Musikleben)에서 악기와 활을 후원받아 사용 중이다.
피아니스트 송재근
디테일한 음악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피아니스트 송재근은 국민대학교를 실기수석으로 졸업한 뒤, 기악 반주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전문사 반주전공에 입학하여 졸업하였다. 2022년과 2023년에는 미국 산타바바라에서 개최된 THE MISIC ACAD-EMY OF WEST에 콜라보레이티브 피아니스트(Collaborative Pianist)로 참가했으며, 활발한 연주 활동을 통해 음악적 스펙 트럼을 넓혀가고 있다.
해설 및 진행 송현민
클래식 음악 전문지 [월간객석] 편집장과 국민대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수학하고 음악비평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그는 2011년 제13회 객석예술평론상 수상 후 음악평론가로 활동하며 글, 강의, 해설, 방송 등으로 여러 관객과 만나고 있다. 또한 베를린 필하모닉 내한 공연(2013), 한불 상호교류의 해(2015-16), 통영페스티벌오케스트라 아시아투어, 뮌헨 브레겐츠 잘츠부르크 페스티벌(2018)을 비롯해 최근 취리히 게자 안다 콩쿠르(2024) 등 여러 현장을 취재했다. 서울과 지역의 문화재단(서울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인천문화재단 등) 심의, 자문, 현장 평가에 참여하고 있으며, 수원시립교향악단, 예술의전당,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LG 아트센터, 대구오페라하우스, 대전예술의전당, 국립국악원, 국립극장, 의정부음악도서관
등에서 강의와 해설을 통해 음악과 인문학 지식 사이의 징검다리를 놓고 있다.
✅ 티켓가격 전석 10,000원